|
|
|
| |
|
|
| |
1. 액세스 버전(97): 영문
2. 윈도우즈의 버전(win2000): 영문
===== 이=== 번 === 엔 === 질 === 문 === 이 === 하 === 나 == 에 == 요===
안녕하세요? 요새 며칠은 정말.. 제 자신이 자랑스러울 정도로 일을 잘하고 있었답니다..
사용자가 요청한 몇가지 요구사항들을 제 선에서 잘 해결하고.. 문제 없이 잘 지내고 있었는데..
흐음;;
요놈에 권한이라는 놈이.. 제 속을 엄청 썩히네요..;; ㅡㅡ+
질문 들어 갑니닷~ ^^
지난번에 crocii님이 말씀하셨던 것처럼 workgroup에 system.mdb 파일을 조인 시켰어요. 어디엔가 자세하게 안내 되어 있어서 그걸보고 잘 해결 했는데.. 문제는..
사용자들이 꼭 그 서버에 있는 DB만을 사용하는게 아니잖아요. 다른 액파일들도 쓰기 마련인데 workgroup을 조인시켜 놨더니 그냥 액세스 만을 실행하기만 하려고 해도 로그인 창이 뜨기 땜에 패스워드를 치고 들어 가야 한다는 불편도 있고, 가장 큰 문제는 admins의 그룹에 있는 사람들을 제외하고는 admin의 권한이 없어서 다른 작업이 불가능 하다는 겁니다. ...
엠에스에서 이런 단점을 보안하기 위해서 고안해 낸 다른 방법은 없을까요?
그럼... 즐거운 주말 보내세효~~ ^^*
==============[찡쫑슈님 글에 대한 답변입니다]==============
ㅎㅎㅎ
드디어... 기다리고 기다리던 질문이 올라 왔습니다..
작업그룹 보안기능을 사용하다 보면 당연히 불편하고 당연히 올라 왔어야 하는 질문입니다..
감사합니다.. ㅠㅠ
실행창이나 도스창을 열고 아래 처럼 명령을 주면 액세스가 열립니다.
C:\Program Files\...각자의경로...\MSACCESS.EXE
이 뒤에 파일의 경로 및 이름을 추가 하면 그 파일이 열리게 되지요..
C:\Program Files\...\MSACCESS.EXE C:\My Foler\MyAccess.mdb
근데!!
위의 명령문자열을 보니 경로명 중에 공백이 있습니다.
이렇게
실행파일경로명 실행할파일 <-- 이런 형태의 명령문자열중 각 경로명에 공백이 있으면 에러가 납니다. 그러므로 아래처럼 따옴표로 묶어 줍니다.
"실행파일경로명" "실행할파일"
즉..
"C:\Program Files\...\MSACCESS.EXE" "C:\My Foler\MyAccess.mdb" 이렇게...
이제 뒤에 명령줄 옵션을 주면 작업 그룹 파일에 조인 시킬 필요도 없고 로그인창에 아이디, 패스워드를 입력할 필요도 업습니다.. 로그인 창이 열리게 되어 있는 상태라도 열리지 않고 열리지 않는 상태라도 상관 없습니다..
한칸 떼고) /wrkgrp "작업그룹파일의경로및파일명" /User 사용자아이디 /pwd 패스워드
이렇게~!!
모두 합치면..
"C:\Program Files\...\MSACCESS.EXE" "\\공유폴더\어플리케이션.mdb" /wrkgrp "\\MySystem.mdw" /User Crocii /pwd Crocii
이렇게 됩니다..
어플리케이션을 빨리 구동시키려면 /runtime 을 주어 보십시요.
그럼 이제.. 저 긴 명령문자열을 일일히 실행창에 넣어 줄 것이냐..
바로가기 아이콘을 이용합니다..!
이제 또 사용자들을 교육 시키십시요..
MSACCESS.EXE 파일이 있는 곳을 찾아서 바탕화면에 바로가기 아이콘 하나 만듭니다.
파일을 마우스 우버튼 클릭하고 등록정보 클릭
대상(T) 입력란에 위의 명령문자열을 입력합니다..
끝!!
이제 사용자들에게 파일찾기로 원래의 System.mdw를 찾아서 자신의 시스템파일에 조인하라고 하십시요..
왜!! 이제야 가르쳐 주느냐..
이렇게 해야 작업그룹 보안의 체계를 이해하고 사용자들도 이 명령줄의 의미를 이해하여 적절히 필요한대로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작업그룹파일은 연결하게 하되 파일별로 계정과 패스워드는 입력하고 들어가게 한다던가..
이 방법은 사용자 패스워드가 노출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주의 주십시요.
첨부는 자료실에 올려둔 보안적용 파일의 링크 파일입니다.
아.. 그리고..
코드를 이용하여 암호확인창의 불편을 해소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몇가지 장치를 준비해야 하지요..
암호확인창을 사용할 수 없으니 자체적으로 로긴 창을 만들어야 합니다.
일단 Admin계정으로 접근하게 한 다음
그 로긴창에서 얻은 사용자 정보로 DB쪽 파일의 DB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액세스 하는 방법이 있는데.. 코딩이 많아 집니다.. |
|
|
[불량 게시물 신고] |
|
|
|
|
작성일 : 2004-10-08(19:51)
최종수정일 : 2004-10-08(20:19) |
| |
|
 |
|